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전통교육철학: 이상주의, 실재주의, 자연주의, 실용주의

by 행곰이1 2024. 3. 5.

2024.03.05 - [교육학] - 교육철학의 연구 영역과 기능

지난 글에서 교육철학의 연구 영역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전통철학과 교육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상주의, 실재주의, 자연주의, 프래그머티즘으로 나누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전통교육철학: 이상주의, 실재주의, 자연주의, 실용주의
전통교육철학: 이상주의, 실재주의, 자연주의, 실용주의

1. 이상주의(idealism)

이상주의는 관념만이 궁극적 실재이고 가치판단의 준거라고 보아 현실보다 이상적인 세계나 아이디어를 중시하는 철학적 입장입니다. 감각적 경험보다 이성적 사유, 이상적인 가치와 진리를 추구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최고의 지식과 도덕적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상주의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내적 성장과 완성을 위해 지적·도덕적 가치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되며, 개인의 완성과 이상사회 실현, 교사 중심 교육, 회상설과 같은 교육원리를 지닙니다. 대표적으로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 데카르트의 합리적 사유 법칙, 버클리의 유아론, 칸트와 헤겔의 관념론, 혼의 인격도야 등이 이 사상에 해당합니다.

2. 실재주의(realism)

실재주의는 궁극적 실재가 인간의 정신과 무관하게 실재하는 물질이라고 하는 철학적 입장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교육에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인식한 사실을 강조하며, 관찰할 수 있는 현실 세계에 초점을 맞춘다. 실재주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현실 세계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여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여 이상적 생활의 구현이 목적입니다. 이와 같은 항존주의의 전개 과정은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베이컨, 허친스, 브로우디와 같은 학자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3. 자연주의(naturalism)

자연주의는 자연과 자연법칙을 중요하게 여기며 자연을 유일하고 가치 있는 실재라고 보는 철학적 입장을 나타냅니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교육에서는 자연의 원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깁니다. 이는 실제 경험과 실생활 상황을 강조하며, 학생들이 자연과 환경을 탐구하고 이해함으로써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아동 중심 사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탈레스 물, 코메니우스의 객관적 자연주의, 루소의 주관적 자연주의, 스펜서의 생활준비설, 페스탈로치의 사회적 자연주의, 엘렌케이의 자유주의 교육, 몬테소리의 아동의 집, 닐의 서머힐 학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홀리스틱 교육은 학생의 전체적인 발달과 전반적인 관계성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으로 자연주의 교육에 포함됩니다. 이는 학생의 정신, 감정, 육체, 사회적, 영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하며 조화로운 삶을 중시합니다. 홀리스틱 교육의 이론적 배경은 낭만주의, 초개인주의, 생태주의입니다. 이는 학습을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학생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통합하는 것으로 균형, 포괄, 연계의 교육원리를 강조합니다. 전인적 발달과 관계성을 강조하며 학생 각자의 잠재성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4.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프래그머티즘은 학습과 교육을 실용성과 경험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는 행동, 경험, 실용 중심의 철학적 입장입니다. 모든 것은 변하기 때문에 경험과 변화가 유일한 실재이며 상대적 가치관을 지녔습니다.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시하며 경험 중심, 생활 중심, 아동 중심 교육이라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 학자로는 듀이가 있는데 그는 교육은 생활, 성장, 계속된 경험의 재구성, 사회적 과정이라고 말하며 문제해결학습을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듀이의 사상에 따른 교육 내용은 경험에,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으로 모든 경험을 능동적으로 해보는 것과 수동적으로 당하는 것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아동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입니다. 경험 속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시행착오적 경험과 반성적 경험이 구분됩니다. 그는 문제해결학습을 중요한 교육 방법으로 내세웠고 이는 사회화 과정이라고 했습니다. 또한, 학교는 사회적 기관의 하나이고 민주주의 사회의 축소판이며 학교 교육은 사회 진보와 개혁의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하며 많은 저서들을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