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테크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았을 ISA 계좌는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계좌 안에 예금 적금 펀드 주식 채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을 수 있어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가장 큰 장점은 세제 혜택인데 이를 잘 활용하면 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재테크 초보부터 고수까지 폭넓게 활용되는 계좌입니다. ISA 계좌는 크게 신탁형과 일임형으로 나뉘며 2023년부터는 중개형 ISA가 도입되어 투자 선택의 폭이 더 넓어졌습니다. 신탁형은 가입자가 직접 상품을 고르되 금융회사가 제공하는 상품 범위 안에서만 선택할 수 있고 일임형은 전문가가 고객의 투자 성향에 따라 자산을..

주식 투자의 방식은 다양하지만 장기적인 수익과 현금흐름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배당주 투자입니다. 배당주는 기업이 이익을 낸 뒤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구조로 단순한 주가 차익만 아니라 정기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2030 투자자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습니다. 특히 배당금으로 매달 고정 수익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접근하는 경우 이를 ‘배당 월급 만들기’ 전략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배당주의 개념부터 종목 선택 시 주의할 점 그리고 실제로 배당으로 월급을 받기 위해 필요한 준비 사항까지 배당주 투자의 기본기를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배당이란 기업이 순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으로 나눠주는 것을 말합니다. 현금으로 나눠주는 경우를 현금배당 주식..

사회초년생이 금융 생활을 시작할 때 먼저 부딪히는 장벽 중 하나가 바로 신용점수입니다. 과거에는 ‘신용등급’이라는 개념이었지만, 현재는 1점부터 1,000점까지의 ‘신용점수’ 체계로 바뀌어 보다 세밀한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저도 얼마 전에 학자금 대출을 전액 상환하여 신용점수가 크게 상승했는데요. 특히 20대는 아직 금융 이력이 많지 않기 때문에 본인의 신용점수가 어떻게 산정되는지, 어떻게 관리해야 향후 대출이나 카드 발급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는지를 미리 알고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20~30대가 꼭 알아야 할 신용점수 관리의 기본 개념과 실천할 수 있는 방법 7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신용점수란 금융회사가 고객에게 신용을 평가할 때 참고하는 지표로, 카드 사용 명세, 대출 이력, 상..

아무 행동도 하지 않았는데도 통장 잔고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 고정지출을 점검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매달 자동이체나 정기 결제로 나가는 비용들은 하나하나 보면 적은 금액처럼 느껴지지만 이를 모두 합치면 한 달 용돈 수준의 지출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용하지 않거나 잊고 있는 항목까지 포함된다면 생각보다 많은 돈이 새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상에서 놓치기 쉬운 고정지출 항목들을 점검하고 꼭 필요한 지출만 남기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단순한 절약을 넘어서 지금도 나도 모르게 새고 있는 돈을 막는 것이 핵심입니다. 1. OTT 구독 서비스 확인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과 같은 구독형 콘텐츠 서비스는 처음에는 보고 싶은 콘텐츠 때문에 구독을 시작하지만 지나면서 더 이..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대표적인 금융 상품으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가 자주 언급됩니다. 특히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절세 혜택과 함께 노후 자산을 불릴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두 상품은 같은 듯 다르고, 장단점도 뚜렷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상품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공통점: 세액공제 혜택연금저축펀드와 IRP 모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연금 상품입니다.납입 금액의 최대 **16.5% (지방소득세 포함)**까지 세금 환급이 가능하므로, 연말정산 환급을 노리는 직장인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각각 공제 한도가 다릅니다. 총급여 1.2억 원 이하인 근로자의 경우 두 상품을 합산해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

노후 준비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오는 은퇴 시기, 제대로 대비하지 않으면 누구나 노후 빈곤이라는 현실 앞에 서게 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절반 이상이 빈곤 상태에 처해 있으며,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한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노후 빈곤을 예방하기 위해 꼭 실천해야 할 10가지 방법입니다. 1. 연금 삼총사 챙기기: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노후 소득의 3대 축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입니다. 이 세 가지 연금을 골고루 활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노후 소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첫걸음입니다. 특히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은 단순히 가입에 그치지 않고, 운용 방식과 수익률을 주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