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부동산 계약이나 청약 준비를 하다 보면 생소한 서류 중 하나가 바로 전입세대확인서입니다. 저도 최근 신혼집 준비로 인해 전입세대확인서가 필요한 상황이 있었는데요. 많은 분들이 “정부24에서 인터넷 발급 가능하지 않나요?”라고 물어보시는데요, 그 궁금증 오늘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입세대확인서란?
전입세대확인서는 특정 주소지에 누가 거주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이 서류를 통해 해당 주소에 전입한 세대 구성원(세대주, 동거인 등)의 이름과 전입일자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전입세대확인서 사용처
- 주택 청약 시 무주택 요건 확인
- 전세계약 전 실거주 여부 확인
- 보증금 반환 소송 시 증빙
- 부동산 경매 시 권리관계 파악 등
인터넷으로는 절대 발급 불가
정부24에서는 전입세대확인서 민원 안내만 제공할 뿐, 실제 서류 발급은 오직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합니다
인터넷 발급 (정부24) | ❌ 불가능 | 신청 안내만 가능 |
주민센터 발급 | ✅ 가능 | 전국 어디서나 가능 (주소지 무관) |
주민센터에서 전입세대확인서 발급받는 법
전입세대확인서는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누구나 발급 가능한 건 아닙니다. 해당 주소지의 소유자, 임차인, 매매계약자, 금융기관 등만 발급 가능하고 단순히 주소를 알고 있다고 해서 아무나 발급할 수는 없습니다.
본인 (소유자/임차인 등) | 신분증, 매수인일 경우 매매계약서 등 |
대리인 | 신분증 + 위임장 + 위임인의 신분증 사본 |
법인 | 대표자 신분증 + 법인인감증명서 등 |
💰 수수료
- 열람용: 300원
- 교부용(제출용): 400~500원
📌 청약 등 기관 제출용은 꼭 ‘교부용’으로 요청하세요. 출력물 하단에 '기관 제출용' 문구가 포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정부24에서 신청하면 인터넷 출력 가능한가요?
❌ 아니요. 신청도 안 됩니다. 안내 페이지만 있고, 실질적 신청이나 발급은 현장(주민센터)에서만 가능합니다.
Q2.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로 꼭 가야 하나요?
❌ 아닙니다. 전국 모든 주민센터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가까운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
Q3. 전입세대확인서를 꼭 발급받아야 하나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청약, 임대차 계약, 소송 등의 경우 꼭 필요하므로 미리 발급해두면 유용합니다.
마무리
인터넷에서 전입세대확인서 발급 가능하다는 잘못된 정보에 주의하세요! 정부24에서도 직접 발급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주민센터에 방문해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서류 준비로 시간 낭비 없이 부동산 계약이나 청약 준비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