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울 청년 이사비 최대 40만원 지원 총정리

    청년이라면 1~2년에 한 번씩 이사하는 삶, 익숙하시죠? 직장 옮기고, 학교 졸업하고, 자취방 옮기고… 저도 여러번 이사를 해봐서 그 때마다 드는 이사비와 부동산 중개비, 생각보다 부담 크더라고요. 

    그런데! 서울시에 살고 있는 청년이라면, 이 비용을 최대 40만원까지 실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놓치면 진짜 손해인데 신청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이사했거나, 이사할 예정이라면 꼭 챙겨보세요.

    ✅ 어떤 걸 지원해주나요?

    서울시는 아래 두 가지 항목에 대해 실제 지출한 비용을 돌려줍니다.

    • 부동산 중개보수
    • 이사비용 (포장이사, 사다리차 등)

    단, 생애 1회 지원, 최대 40만 원까지! 중개비나 이사비 중 하나만 신청도 가능해요.

     

     

    👥 지원 대상은?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소 2023.1.1 이후 서울시로 전입 or 서울시 내 이사 후 전입신고 완료한 가구
    연령 만 19세~39세 (1985.1.1 ~ 2006.12.31 출생자)
    소득 가구당 중위소득 150% 이하 (※ 건강보험료 기준 적용)
    재산 무주택자 (청약 통장은 상관 없음, 분양권도 포함)
    주택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전·월세 (보증금 + 월세×100 기준)

     

    ❌ 이런 경우는 지원 불가

    • 2022.1.1 이후 이사 후 타 기관에서 중개비 or 이사비를 이미 지원받은 경우
    • 부모 소유 주택에 임차 중인 경우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 사업 취지와 맞지 않는 경우 (예: 고의로 신청 기준 어긴 경우 등)

    📅 신청 일정 & 방법

    • 신청 기간 : 2025년 8월 12일(화) 오전 10시 ~ 8월 25일(월) 오후 6시까지
    • 신청 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에서 온라인 신청
    • 선정 발표 : 10월 중 서류심사 → 11월 최종심사 → 12월 지원금 지급 예정

    서울 청년 이사비서울 청년 이사비서울 청년 이사비

    📝 제출해야 할 서류

    서류는 PDF 형식으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가리고 제출해야 해요.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임대차계약서
    • 중개비 or 이사비 영수증 (카드 영수증, 현금영수증, 계좌이체 + 업체 사업자등록증/명함)
    • 본인 명의 통장사본

    ※ 고시원 등 계약서 없는 경우엔 ‘입실확인서’ 및 ‘임대사업자등록증’ 필요

     

    👀 우선 선정되는 대상은?

    아래 청년들은 우선 선정 대상입니다.
    ※ 예산 초과 시, 이분들이 먼저 뽑히고 나머지는 소득순으로 선발돼요.

    • 전세사기 피해자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 청소년 부모
    • 가족돌봄청년
    • (반)지하, 고시원, 옥탑방 거주 청년 등 주거취약계층

    마무리

    이사 계획이 있다면, 또는 최근에 이사했다면 꼭 챙겨야 할 청년 지원금입니다. 40만원 실비 지원, 정말 큰 도움이 되겠죠?

    📌 신청 마감일: 2025년 8월 25일 오후 6시까지!

    👉 청년몽땅정보통 바로가기

     

    반응형